#31 L4스위치 동작방식과 구성방식

2025. 2. 21. 11:02IT Infra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L4스위치 동작방식과 구성방식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트래픽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대규모 서비스 환경에서는 단순한 L2/L3 스위치로는 고성능 트래픽 처리 및 세션 기반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L4 스위치이다.

L4 스위치는 OSI 7계층 모델에서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Layer 4) 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TCP/UDP 포트 정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능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L4 스위치의 동작 원리, 주요 기능, 구성 방식 및 실무 적용 사례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1. L4 스위치 개념과 주요 기능

L4 스위치는 전송 계층에서 패킷을 분석하고, 특정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일반적인 L2/L3 스위치가 MAC 주소 및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과 달리, L4 스위치는 TCP/UDP 포트 정보, 세션 상태 및 패킷 속성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분배한다.

1) L4 스위치의 주요 기능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 HTTP, HTTPS, FTP, DNS 등의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하여 성능을 최적화
  • 특정 서버 과부하 방지 및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제공

세션 지속성(Session Persistence, Sticky Session):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세션을 유지하여 동일 사용자가 항상 같은 서버에 연결되도록 지원
  • 로그인 정보 유지가 필요한 웹 서비스(예: 쇼핑몰, 금융 서비스)에서 필수적

트래픽 제어 및 QoS(Quality of Service):

  • 특정 프로토콜(TCP/UDP) 및 포트 기반으로 우선순위 트래픽 처리
  • VoIP, 스트리밍 서비스 등 지연(Latency)이 중요한 트래픽을 최적화

DDoS 공격 방어 및 보안 기능:

  • 비정상적인 대량 트래픽을 감지하고, 특정 공격 패턴을 차단
  • SYN Flooding, UDP Flooding, ICMP 공격 등 L4 계층 공격 대응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 지원:

  • 내부 서버들의 사설 IP를 외부 네트워크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변환
  • 다수의 내부 서버를 단일 IP 주소로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구성

 


 

2. L4 스위치의 동작 방식

L4 스위치는 전송 계층의 TCP/UDP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패킷을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로드 밸런서(LB, Load Balancer)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 요청을 여러 서버로 분산하여 부하를 최소화하고 가용성을 극대화한다.

1) 트래픽 처리 과정

1️⃣ 클라이언트가 L4 스위치에 요청 전송

  • 예를 들어, 사용자가 https://example.com에 접속하면, 요청은 먼저 L4 스위치로 전달됨
  • 요청에는 IP 주소, TCP 포트(예: 443), 프로토콜(예: HTTPS) 등의 정보 포함

2️⃣ L4 스위치가 TCP/UDP 헤더 분석

  • 스위치는 패킷의 목적지 IP, 포트, 프로토콜을 확인
  •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서버를 선택

3️⃣ 적절한 서버로 트래픽 전달

  •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특정 서버로 분배
  •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

4️⃣ 세션 지속성(Session Persistence) 적용 (선택적 기능)

  • 특정 클라이언트가 항상 동일한 서버에 연결되도록 유지

 


 

3. L4 스위치의 구성 방식

L4 스위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과 서비스 유형에 따라 최적의 구성이 필요하다.

1) 기본 구성 방식

🔹 단일 L4 스위치 구성 (Single LB Mode)

  • 단일 L4 스위치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
  • 소규모 서비스에서는 단순한 구성으로 충분하지만, 단일 장애점(Single Point of Failure, SPOF) 이 존재

🔹 이중화(Active-Standby) 구성

  • 두 개의 L4 스위치를 Active-Standby 모드로 운영하여 장애 발생 시 백업 장비가 즉시 트래픽 처리
  • 주로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HSRP(Hot Standby Router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장애 복구(Failover) 기능 제공

🔹 Active-Active 로드 밸런싱 구성

  • 두 개 이상의 L4 스위치가 동시에 동작하며 부하를 나누어 처리
  • 대량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으며,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 제공

2)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유형

L4 스위치는 다양한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트래픽을 최적화한다.

Round Robin (라운드 로빈 방식)

  • 요청을 순차적으로 각 서버에 배분
  • 단순한 구조지만, 서버 성능 차이가 큰 경우 비효율적일 수 있음

Least Connection (최소 연결 방식)

  • 현재 가장 적은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서버로 요청 전달
  • 실시간 세션 수를 고려하여 부하 분산을 최적화

Source IP Hash (소스 IP 해시 방식)

  •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서버에 고정 연결(Sticky Session)
  • 세션 유지가 중요한 금융 서비스 등에 적합

Weighted Round Robin (가중치 기반 라운드 로빈)

  • 각 서버의 성능 및 용량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고, 트래픽을 비율에 맞게 분배
  • 고사양 서버가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조정 가능

 


 

4. L4 스위치의 실무 적용 및 최적화 전략

L4 스위치는 대규모 IT 서비스,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환경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최적화 전략이 필요하다.

1) 성능 최적화를 위한 고려 사항

TCP Offloading 기능 활용:

  • L4 스위치에서 TCP 연결을 대신 처리하여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음

DDoS 방어 기능 설정:

  • 비정상적인 대량 트래픽을 감지하고 차단하는 Rate Limiting, SYN Cookie 기능 활용

Failover 테스트 정기 수행:

  • Active-Standby 구성에서 장애 발생 시 자동 전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 필요

클라우드 기반 L4 로드 밸런싱 활용:

  • AWS ELB(Elastic Load Balancer), GCP Load Balancing 등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L4 LB 활용 가능

 


 

결론: L4 스위치의 핵심 역할과 필요성

L4 스위치는 고성능 트래픽 처리 및 부하 분산을 위한 필수 네트워크 장비로, 현대 IT 인프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드 밸런싱을 통한 성능 향상 및 고가용성 제공
세션 유지 기능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 개선
DDoS 방어 및 트래픽 제어를 통한 보안 강화

올바른 L4 스위치 구성 및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31 L4스위치 동작방식과 구성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