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 종류와 특징
2025. 1. 23. 11:22ㆍIT Infra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 종류와 특징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의 중요성: 데이터 통신의 기본 구조
네트워크 케이블은 데이터 통신의 물리적 기반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는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간에 빠르게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케이블은 신뢰성과 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케이블의 설계와 품질은 네트워크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차폐가 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은 전자기 간섭(EMI)에 민감하여 데이터 오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케이블은 특정한 데이터 전송 거리, 대역폭, 환경 조건에 최적화되어 있어, 네트워크 설계 시 올바른 케이블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동축 케이블은 네트워크 초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 케이블 유형입니다. 중심에 있는 구리 도체와 이를 둘러싼 절연체, 금속 차폐층, 외부 보호층으로 구성됩니다.
- 특징 및 사용 사례:
동축 케이블은 전자기 간섭에 강하며, 특히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하는 데 유리합니다. 이는 케이블 TV, 초기 이더넷(10Base2, 10Base5) 및 고속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고유 장점:
신호 손실이 적고, 비교적 긴 거리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은 최대 500미터까지 신호를 유지할 수 있어 기존 건물의 백본(backbone) 네트워크로 적합합니다. - 현대적 활용:
현재는 주로 광섬유나 UTP 케이블에 밀려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케이블 TV 및 CCTV 시스템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동축 케이블 | RG-6, RG-11 | 최대 1Gbps | 최대 500m | 굵은 차폐로 신호 손실 최소화. 전자기 간섭에 강함. | 케이블 TV, 초기 네트워크(10Base2, 10Base5) |

3. 비차폐 연선(UTP) 및 차폐 연선(STP): 근거리 네트워크의 핵심
UTP(Unshielded Twisted Pair)와 STP(Shielded Twisted Pair)는 오늘날의 근거리 통신망(LAN)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케이블 유형입니다.
- UTP 케이블:
차폐가 없는 꼬인 형태의 구리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유연성이 뛰어납니다. Cat5e, Cat6, Cat6a, Cat7 등이 대표적이며, Cat6a는 10Gbps 속도를 100미터까지 지원합니다. - STP 케이블:
각 쌍의 연선을 금속 차폐로 감싸 전자기 간섭에 더 강합니다. 이 때문에 산업 환경이나 고전력 전기 장비가 많은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 성능 비교:
UTP는 비용 효율적이고 설치가 용이하지만, STP는 신호 품질이 우수하며 EMI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특히, STP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환경에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UTP (비차폐 연선) | Cat5 | 100Mbps | 100m | 저렴하며 설치 용이. 현대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구형 네트워크 환경 |
Cat5e | 1Gbps | 100m | Cat5를 개선하여 크로스토크를 줄임. 현재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 | 중소규모 기업, 가정 네트워크 | |
Cat6 | 1Gbps(최대 10Gbps*) | 100m(10Gbps: 55m*) | 대역폭 증가(250MHz)로 신뢰성 높음. 10Gbps 지원 가능(*조건부). | 기업용 LAN, 데이터 센터 | |
Cat6a | 10Gbps | 100m | Cat6의 개선 버전으로 차폐 강화(500MHz). 전자기 간섭(EMI) 저항 우수. | 고성능 네트워크, 대규모 기업 환경 | |
Cat7 | 10Gbps | 100m | 개별 차폐(STP)로 EMI 방어 우수. 더 높은 대역폭(600MHz). | 데이터 센터, 서버실 | |
Cat8 | 25~40Gbps | 30m | 고주파수(2GHz)에서 동작. 짧은 거리에서 초고속 전송. | 데이터 센터 간 상호 연결(스위치-스위치) | |
STP (차폐 연선) | Cat6, Cat7, Cat8 | 위와 동일 | 위와 동일 | 차폐 처리가 되어 전자기 간섭에 강함. 산업 환경에서 안정적. | 공장, 고전력 장비가 있는 환경 |

4.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 초고속 데이터 전송의 혁명
광섬유 케이블은 데이터 전송 매체로 빛을 사용하는 첨단 기술입니다. 이 케이블은 중심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코어, 반사층, 그리고 보호 외피로 구성됩니다.
- 단일모드(Single-Mode)와 다중모드(Multi-Mode):
단일모드 광섬유는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여 장거리(최대 80km 이상) 고속 전송에 적합합니다. 반면 다중모드 광섬유는 LED 광원을 사용하며, 짧은 거리(2km 이하)에서 비용 효율적입니다. - 장점:
- 초고속 데이터 전송: 100Gbps 이상의 속도를 지원.
- 긴 거리 지원: 신호 증폭 없이 장거리 전송 가능.
- 간섭 최소화: 전자기 간섭에 완전히 면역.
- 활용 사례:
광섬유는 오늘날의 인터넷 백본, 데이터 센터 간 연결, 통신사 네트워크에서 필수적입니다. 또한, 5G 네트워크와 같은 첨단 통신 기술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광섬유 케이블 | Single-Mode | 최대 400Gbps 이상 | 최대 80km 이상 | 빛을 단일 경로로 전송. 장거리 및 고속 전송에 적합. | 광대역 인터넷, WAN, 데이터 센터 간 연결 |
Multi-Mode | 최대 100Gbps | 최대 2km | 넓은 코어로 빛의 다중 경로 사용. 짧은 거리에서 비용 효율적. | 근거리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내부 |

5. 광섬유 케이블(Fiber Optic Cable)에서 사용되는 GBIC(Gigabit Interface Converter) 종류 및 특징
SX (Shortwave) | 1Gbps | 최대 550m (MMF) | 850nm | 다중모드 광섬유(MMF)에서 작동. 짧은 거리에서 경제적. | 데이터 센터, 근거리 네트워크 |
LX (Longwave) | 1Gbps | 최대 10km (SMF) | 1310nm | 단일모드 광섬유(SMF) 지원. 중거리 및 장거리 네트워크에 적합. | 캠퍼스 네트워크, 대규모 LAN |
ZX (Extended) | 1Gbps | 최대 80km (SMF) | 1550nm | 고감도 설계로 장거리 전송 가능. 단일모드 광섬유 사용. | WAN 연결, 원거리 데이터 센터 연결 |
BX (Bidirectional) | 1Gbps | 최대 10~20km (SMF) | 1310nm / 1490nm | 단일 광섬유로 양방향 전송 지원. 파장 분할 다중화(WDM) 기술 사용. | 비용 효율적인 광 네트워크, 도시형 네트워크 |
DWDM GBIC | 1~10Gbps | 최대 80~120km (SMF) | 1525~1565nm | 파장 분할 다중화(DWDM) 기술로 다중 채널 지원. 대역폭 효율 극대화. | 통신사, 대규모 데이터 센터, 국제 네트워크 |
CWDM GBIC | 1~10Gbps | 최대 40~80km (SMF) | 1270~1610nm | 비용 효율적인 파장 분할 다중화(CWDM) 기술 사용. DWDM보다 낮은 채널 밀도. | 중소형 네트워크, 지역 네트워크 연결 |
Tunable GBIC | 1~10Gbps | 최대 80km (SMF) | 1525~1565nm | DWDM과 비슷하지만 파장을 동적으로 변경 가능.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 가능. | 고속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통신사 네트워크 |
- GBIC와 SFP의 관계:
GBIC는 기존의 큰 크기를 가진 모듈이며, SFP(Small Form-Factor Pluggable)는 GBIC의 소형화 버전입니다. 대부분의 최신 네트워크 장비는 SFP 또는 SFP+를 사용하지만, GBIC는 여전히 특정 환경에서 활용됩니다. - 단일모드(SMF)와 다중모드(MMF):
- 단일모드(SMF): 장거리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ZX, DWDM, CWDM GBIC와 같은 모듈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다중모드(MMF): 짧은 거리에서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SX GBIC에서 자주 활용됩니다.
- DWDM과 CWDM의 차이:
- DWDM은 더 많은 채널을 지원하여 대역폭 효율성이 높고, 고속 장거리 통신에 적합합니다.
- CWDM은 채널 수가 적지만, 비용 효율성이 뛰어나며 중소규모 네트워크에 유용합니다
'IT Inf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DNS(Domain Name System)의 원리와 작동 방식 (0) | 2025.01.30 |
---|---|
#8 STP란 무엇인가? (0) | 2025.01.30 |
#7 L2 스위치란 무엇인가? (역할, 동작방식) (0) | 2025.01.29 |
#6 IP 주소 체계와 서브넷 마스크 (0) | 2025.01.26 |
#5 ARP 란 무엇인가 ? (0) | 2025.01.25 |
#4 네트워크 L2계층 MAC통신 이란 ? (0) | 2025.01.24 |
#2 OSI 7계층 이란 무엇인가 ? (0) | 2025.01.22 |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기초 개념과 구성 요소 이해하기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