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
-
#36 Multicast 개념과 동작방식
Multicast 개념과 동작 방식멀티캐스트(Multicast)는 네트워크에서 특정 그룹의 수신자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입니다.일반적인 유니캐스트(Unicast)는 각 수신자에게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멀티캐스트는 하나의 패킷을 생성하여 여러 수신자에게 동시에 전달합니다.이 방식은 대역폭을 절약하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며, 실시간 스트리밍, IPTV, 화상 회의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Multicast 개념과 필요성🔹 Multicast란 무엇인가?멀티캐스트(Multicast)는 한 송신자가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이는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한 트래픽 증가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방식과 비교하면:1️⃣..
2025.03.26 -
#35 인터넷 연결(IX, Transit) 회선 개념과 특징
인터넷 연결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네트워크 간 트래픽 교환 방식이다. 기업, 데이터센터,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클라우드 사업자는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위해 IX(Internet Exchange)와 Transit(트랜짓) 회선을 활용한다.IX와 Transit은 인터넷 트래픽이 네트워크 간 이동하는 방식을 결정하며, 비용, 성능, 안정성 등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IX는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간 트래픽을 직접 교환하는 방식(Peering), Transit은 상위 ISP를 통해 글로벌 인터넷과 연결되는 방식을 의미한다.본 문서에서는 IX와 Transit의 개념, 동작 방식, 주요 특징 및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IX(Internet Exchange)의 개념과..
2025.03.04 -
#34 Segment-Routing 개념 및 동작방식
Segment Routing(SR)은 기존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반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유연하고 효율적인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라우팅 기술이다. 기존 MPLS 네트워크에서는 LDP(Label Distribution Protocol) 및 RSVP-TE(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 Traffic Engineering)와 같은 별도의 신호 프로토콜이 필요했지만, Segment Routing은 이러한 복잡성을 제거하고 라우팅 자체에서 패킷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을 채택한다.Segment Routing은 특히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5G 네트워크, 대규모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네트워크 ..
2025.02.28 -
#33 Deep Buffer란? – 네트워크 버퍼 설계와 고속 데이터 처리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Deep Buffer란?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현대의 네트워크 장비는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해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트래픽 흐름을 보장해야 한다. 특히, 대규모 데이터센터, 금융 거래 시스템, 클라우드 네트워크에서는 순간적인 트래픽 폭증(Burst Traffic)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이러한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Deep Buffer(딥 버퍼) 기술이다. Deep Buffer는 대용량의 패킷을 저장할 수 있는 확장된 버퍼 구조로, 트래픽 폭증 시에도 데이터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패킷 전달을 보장한다.본 문서에서는 Deep Buffer의 개념, 동작 원리, 기존 버퍼와의 차이점, 주요 활용 사례 및 한계점을 상세히 분..
2025.02.26 -
#32 네트워크 TCAM 메모리란? – 개념과 동작 방식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TCAM 메모리란? – 개념과 동작 방식 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현대의 고성능 네트워크 장비는 빠른 패킷 전달과 복잡한 룰 기반 트래픽 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인 메모리 구조로는 이러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TCAM (Ternary Content Addressable Memory, 삼진 콘텐츠 주소 지정 메모리) 이 사용된다.TCAM은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에서 패킷 필터링, 라우팅 룩업, 액세스 제어 리스트(ACL) 처리 등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기존의 RAM 기반 검색 방식보다 훨씬 빠른 병렬 검색(Parallel Lookup) 을 지원하여, 초당 수백만 개 이상의 패..
2025.02.24 -
#31 L4스위치 동작방식과 구성방식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L4스위치 동작방식과 구성방식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트래픽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대규모 서비스 환경에서는 단순한 L2/L3 스위치로는 고성능 트래픽 처리 및 세션 기반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L4 스위치이다.L4 스위치는 OSI 7계층 모델에서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Layer 4) 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TCP/UDP 포트 정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능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L4 스위치의 동작 원리, 주요 기능, 구성 방식 및 실무 적용 사례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1. L4 스위치 개념..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