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6)
-
#6 IP 주소 체계와 서브넷 마스크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IP주소 체계와 서브넷팅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IP 주소 체계의 기초와 개념 이해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란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된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숫자 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P 주소는 IPv4와 IPv6로 나뉘며, IPv4는 32비트 구조를, IPv6는 128비트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IPv4 주소는 네 개의 옥텟(8비트)으로 구성되며, 각 옥텟은 0에서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IPv6는 훨씬 더 큰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16비트 단위로 구분된 여..
2025.01.26 -
#5 ARP 란 무엇인가 ?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ARP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ARP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 통신의 시작점Address Resolution Protocol(ARP)은 네트워크 에서 IP주소와 MAC주소 간의 협상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OSI 7 Layer의 데이터 계층(Layer 2)과 네트워크 계층(Layer 3) 사이에 동작하며, IPv4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AR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장비가 패킷을 전송할 때, 상대방 장비의 물리적 MAC주소 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장비가 IP 주소를 알고 있지만, 목적지 주소를 가진 장비의 MAC 주소를 모를 경우, ARP를 통해 이를 확인합니다. ARP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Request을 보내고..
2025.01.25 -
#4 네트워크 L2계층 MAC통신 이란 ?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L2 MAC 통신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MAC 통신의 개요: L2 계층의 핵심 요소MAC(Media Access Control) 통신은 OSI 7 계층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Layer 2)에서 발생하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프레임 단위로 전달되도록 관리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MAC 통신은 주로 물리적 네트워크 장비(스위치, NIC 등)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며, 장치의 고유한 물리적 주소(MAC 주소)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MAC 주소는 48비트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MAC 통신은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 충돌 방지, 데이터 전송 경로의 결정, 프레임 재전송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는 유선 네..
2025.01.24 -
#3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 종류와 특징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 종류와 특징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네트워크 케이블(Network Cable)의 중요성: 데이터 통신의 기본 구조네트워크 케이블은 데이터 통신의 물리적 기반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는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간에 빠르게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케이블은 신뢰성과 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케이블의 설계와 품질은 네트워크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차폐가 되어 있지 않은 케이블은 전자기 간섭(EMI)에 민감하여 데이터 오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케이블은 특정한 데이터 전송 거리, 대역폭, 환경 조건에 최적화되어 있어, 네트워크..
2025.01.23 -
#2 OSI 7계층 이란 무엇인가 ?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OSI 7 Layer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OSI 7계층의 탄생과 목적: 네트워크 표준화의 시작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1984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제정된 네트워크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이 모델은 통신 프로세스를 7개의 계층으로 나눕니다. OSI 모델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각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설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해 상호 호환이 불가능한 상황이 빈번했습니다. OSI 모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 통신을 구조화된 방식으로 정의하여 네트워크의 표준화와 글로벌화를 촉진했습니다. 이 모델의 궁극적..
2025.01.22 -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기초 개념과 구성 요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부터 저와 함께 IT Infra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아요.먼저 네트워크에 대한 기초 개념부터 심화 상세 기술까지 쭈욱~ 다루어 보아요.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데이터 연결의 기본 정의네트워크는 두 개 이상의 장치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체계입니다. 이 연결은 물리적인 케이블이나 무선 신호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자원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 내부의 프린터와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것 모두 네트워크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단순히 데이터 전송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효율적이고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반 기술입니다.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하드웨..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