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nfra(34)
-
#12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와 동작 원리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와 동작 원리 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라우팅 프로토콜의 개념과 역할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은 네트워크 장비가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규칙과 알고리즘의 집합이다. 인터넷과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수많은 라우터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라우터는 목적지까지 가는 여러 경로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해야 한다.라우팅 프로토콜은 이를 가능하게 하며, 네트워크의 토폴로지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갱신하고, 트래픽 부하를 분산하며, 장애 발생 시 대체 경로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신뢰성(Reliability), 확..
2025.02.01 -
#9 DNS(Domain Name System)의 원리와 작동 방식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STP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해 보아요 ~ 1. DNS란? – 인터넷의 주소록인터넷에서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우리는 흔히 www.examp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인터넷 통신은 숫자로 된 IP 주소(예: 192.168.1.1 또는 2001:db8::ff00:42:8329)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DNS(Domain Name System)는 이러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으로, 쉽게 말해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DNS가 없다면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해당 서버의 IP 주소를 기억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www.google.com에 접속하려면 142.250.1..
2025.01.30 -
#8 STP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STP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해 보아요 ~ 1. STP(Spanning Tree Protocol)의 개요와 필요성STP(Spanning Tree Protocol)는 이더넷 네트워크에서 루프(Loop)를 방지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IEEE 802.1D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스위치 기반 네트워크에서는 다중 경로를 사용하여 장애 복구를 지원하지만, 브로드캐스트 스톰(Broadcast Storm)이나 MAC 주소 테이블 불안정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TP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링크를 비활성화하여 루프를 제거하면서도,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대체 경로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STP가 등장하기 전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
2025.01.30 -
#7 L2 스위치란 무엇인가? (역할, 동작방식)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L2 스위치란 무엇인가?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L2 스위치의 네트워크 내 역할L2 스위치(Layer 2 Switch)는 OSI 7계층 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Layer 2)에서 작동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스위치는 허브와 달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유지하면서 충돌 도메인을 분리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데이터 전송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L2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사무실, 캠퍼스 네트워크 및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며, 단순한 패킷 전달 기능뿐만 아니라 VLAN, STP(Spanning Tree Protocol) 및 포트 미러링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최적화와 보안 강..
2025.01.29 -
#6 IP 주소 체계와 서브넷 마스크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IP주소 체계와 서브넷팅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IP 주소 체계의 기초와 개념 이해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란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된 장비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숫자 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IP 주소는 IPv4와 IPv6로 나뉘며, IPv4는 32비트 구조를, IPv6는 128비트 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IPv4 주소는 네 개의 옥텟(8비트)으로 구성되며, 각 옥텟은 0에서 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IPv6는 훨씬 더 큰 주소 공간을 제공하며, 16비트 단위로 구분된 여..
2025.01.26 -
#5 ARP 란 무엇인가 ?
안녕하세요! 콱!꼬챙 입니다. 오늘은 네트워크 ARP에 대해 공부해 보아요 ~ 1. ARP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 통신의 시작점Address Resolution Protocol(ARP)은 네트워크 에서 IP주소와 MAC주소 간의 협상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OSI 7 Layer의 데이터 계층(Layer 2)과 네트워크 계층(Layer 3) 사이에 동작하며, IPv4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ARP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장비가 패킷을 전송할 때, 상대방 장비의 물리적 MAC주소 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장비가 IP 주소를 알고 있지만, 목적지 주소를 가진 장비의 MAC 주소를 모를 경우, ARP를 통해 이를 확인합니다. ARP는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해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Request을 보내고..
2025.01.25